[ 파주인 뉴스 ]

최종환 파주시장 "대북전단 살포는 하늘로 보내는 종이폭탄. 강력 대응할 것“

석정 이정민 2020. 6. 22. 21:14

최종환 파주시장 "대북전단 살포는 하늘로 보내는 종이폭탄. 강력 대응할 것

 

-최 시장, "대북전단 살포행위는 1300만 도민의 생명과 안전 위협하는 행위"

-"탈북단체의 노이즈마케팅을 통한 위상 강화와 사업의 홍보 목적"

최종환 시장, 22일 YTN 라디오 '노영희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탈북 단체들이 대북 전단을 살포할 시법에 따라서 강력하게 단속을 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생각

△최종환 파주시장

 

 

파주시 최북단 민간인통제선에 거주하는 접경지역 주민들이 대북전단 살포 즉각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지난 19일 오전 11시 장단지역 이장단협의회(회장 김경숙)를 비롯한 각 사회단체와 주민 등 50여 명은 통일촌직판장에 집결해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대북 전단 살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접경지역인 파주시 통일촌 마을주민들의 대북 전단 살포 중단 촉구 칩회

 

 

 

또한 파평면 율곡습지공원에서는 파평면 주민들이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지역경제가 무너지고 있는 위기상황 속에서 남·북 관계 악화를 조성하고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를 즉각 멈출 것을 촉구했다.

 

이에 파주시민단체들도 파주시 민통선 지역내 통일촌, 해마루촌, 대성동, 파평면 문산지역 주민들과 함께 오는 25일 대북 전단을 살포하겠다는 경고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하고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국내 탈북민 단체가 북한에 대북 전단을 살포하겠다고 경고한 것과 관련해 최종환 경기 파주시장은 "아주 비이성적이고 1300만 도민을 대표하는 도지사와 도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최 시장은 22일 오전 YTN 라디오 '노영희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탈북 단체들이 대북 전단을 살포할 시"법에 따라서 강력하게 단속을 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18일 접경지역 최종환(사진 좌측 두 번째) 파주시장을 비롯한 시장. 군수협의회 관계자들이 김포시 아트센터 다목적실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엄정처벌하라'고 촉구했다. ​

 

최 시장은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난주 16, 6.15 공동 남북선언 20주년 바로 다음 날에 북한 측에서 20184.27 판문점 공동선언 성과의 상징이었던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는 소식을 듣고, 북한의 도를 넘은 비이성적인 행동에 대해서 우리 시민들과 파주시에서도 매우 화가 나고, 주민 안전이 걱정되는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평온을 되찾고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당일에는 대성동 주민들과 민통선 이북 지역의 주민들께서 폭발음과 연기를 보고 매우 걱정도 많이 있었지만, 재빨리 평온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 시장은 "이미 경기도에서는 재난안전기본법을 적용해서 파주를 비롯한 접경지역 전역을 대북 전단 살포를 방지하는 위험구역으로 설정해서 행정명령을 내렸다"라며 "대북 전단 살포는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주민 생존에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이런 주민의 생명과 안전, 생존권을 제물로 한 위험천만한 대북 전단 살포는 중단해야 하고, 강력히 대응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군부대와 경찰, 그리고 파주시가 공조를 해서 24시간 대북 전단 살포 단체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서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라며 "대북 전단 살포에 필요한 물품들을 운반하거나 반입하는 것들을 24시간 경계해서 예방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 최 시장은 "대북 전단 살포를 하는 일부 몰지각한 단체들은 이것이 일종의 노이즈마케팅을 벌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탈북단체 내부에서도 그런 목소리가 일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최 시장은 "이 대북 전단 살포는 실질적인 북한의 인권 개선과 남북관계 개선 목적이 있기보다는 노이즈마케팅을 통한 탈북단체들의 위상 강화와 사업의 홍보 목적으로 한반도의 안전과 주민들의 생존권을 제물로 벌이는 위험천만한 도박이다라고 보는 시각들이 많다"라고 지적했다.

 

최 시장은 북한 또한 대남전단 살포 경고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일부 탈북 단체들의 몰지각한 대북 전단 살포 행위에 대해서 북한 당국자가 나서서 대남 삐라를 살포하겠다고 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본다"라며 "4.27 남북 정상회담 정신에도 맞지 않고, 우리 탈북 단체들의 이런 몰지각한 대북 전단 살포를 하는 것에 대해서 북한 당국이 나서서 하는 것도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우리 군부대와 경찰,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이 합심해서 우리 지역에서의 대북 전단 살포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북한을 더 이상 자극하지 않도록 하면 북한에서도 (대남 살포를 중단할) 여지는 아직 남아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을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서 '지도부의 승인이 되면'이라고 하는 단서를 붙였던 것 같다"라며 "이 단서를 유추해본다고 하면 아직 최종 승인이 나지 않은 만큼 우리 지역에서의 대북 전단 살포를 강력히 단속하고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면 북한도 이성적으로, 현명한 판단을 내려서 도발들을 중단하지 않을까 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최 시장은 대북전단 살포를 하는 일부 몰지각한 단체들은 이것이 일종의 노이즈마케팅을 벌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이런 의심과 또 탈북단체 내부에서도 그러한 목소리가 벌어지고 있다대북전단 살포는 실질적인 북한의 인권 개선과 남북관계 개선에 목적이 있기보다는 노이즈마케팅을 통한 탈북단체들의 위상 강화와 사업의 홍보 목적으로 한반도의 안전과 주민들의 생존권을 제물로 벌이는 위험천만한 도박이다, 이렇게 보는 시각들이 많이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최 시장은 일단 우리 군부대와 경찰,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이 합심해서 우리 지역에서의 대북전단 살포를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북한을 더 이상 자극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북한에서도 여지는 아직 남아있지 않나, 이렇게 생각이 든다면서 북한에서 지도부의 승인이 되면, 이라고 하는 단서를 붙였던 것 같다. 그래서 삐라를 뿌리기 위해서는 지도부의 최종 승인이 되면, 이라고 하는 단서로 유추해본다고 하면 아직 최종 승인이 나지 않은 만큼 우리 지역에서의 대북전단 살포를 강력하게 단속하고, 그에 따라서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면 북한도 이성적으로, 현명한 판단을 내려서 남북관계를 최악의 국면으로 가기 위한 위험한 행동, 도발들은 중단하지 않을까 하는, 시간을 벌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